국군역사기념관 설립… 국군포로 다룰까

최종수정 2020.06.29 10:57 기사입력 2020.06.29 10:57

한국전쟁 당시 북한에 전쟁포로로 억류돼 있다가 중공군과 교환돼 열차를 타고 한국으로 송환된 국군 포로들을 미군이 맞이하고 있다. 사진은 한국전에 유엔군으로 참전했던 미국인 제임스 엥퍼(72)씨가 지난 2004년 6월 서울 동방사회복지회에 기증한 100장의 컬러사진 중 1장이다.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국방부가 6.25 전쟁 70주년을 맞아 국군역사기념관을 설립하기로 결정했지만 국군포로에 대한 내용을 다룰지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남북관계를 고려해 북측에 국군포로 송환을 언급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국군포로에 대한 내용이 축소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29일 국방부에 따르면 한국국방연구원(KIDA)은 이달 또는 다음달 중 기념관 건립 필요성, 위치, 규모 등 사업추진방향을 검토한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KIDA는 육군사관학교가 위치한 태릉이나 3군본부가 모여있는 계룡대에 국군역사기념관의 설립을 검토했지만 지리적으로 일반인들의 방문이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KIDA는 268억원을 투입해 서울 용산에 위치한 전쟁기념관 웨딩홀을 철거하고 국군역사기념관을 설립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결론 내렸다. 국방부는 이를 토대로 올해 설계를 시작하면 2023년에는 준공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문제는 국군포로에 대한 내용을 얼마나 다룰지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6일 국립 대전현충원에서 열린 65회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해 국군의 뿌리가 독립군, 광복군에 있다고 부각했다. 광복군, 독립군 출신 국군 유공자의 이름도 여러 명 언급했다. 하지만 국군포로에 대한 언급은 생략됐다. 6ㆍ25 전쟁 70주년 행사에서도 국군포로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국군역사기념관을 설립하더라도 국군포로에 대한 내용이 축소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는 세 차례 남북정상회담을 하면서도 북한에 국군포로송환을 요청하지 않았다. 국방부는 북한에 국군포로 500여명이 생존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북측에 생존해 있는 국군포로는 남북이 이산가족 상봉을 했을 당시인 2002년(3명), 2005년(2명), 2009년(1명), 2010년(4명), 2015년(1명)에 각각 모습을 드러낸 바 있다.


박선영 물망초이사장은 "현정부에서는 6ㆍ25 전쟁 70주년 기념식에 국군포로를 한명도 초청하지 않는 등 국군포로에 대한 문제를 묵살하고 있다"면서 "국군포로는 남북간 이념에 대한 문제가 아닌 인권문제로 투명하게 다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