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도입 위한 육군의 숙제

최종수정 2018.01.17 11:05 기사입력 2018.01.17 11:05

정치부 양낙규 차장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 드론을 '하늘 위 산업혁명'이라고 일컫는다.

드론은 애초 무선전파로 조정할 수 있는 무인 비행기를 의미했고 일반인들을 위한 취미생활로 인식돼왔다. 하지만 드론은 이보다 훨씬 유용한 존재다. 각종 재난현장은 물론 군사 작전, 물류 배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드론 상용화의 포문을 연 기업은 미국의 아마존이다. 아마존은 2013년 드론 배송 서비스 '아마존 프라임에어'를 선보였다. 다만 이를 상용화하기 위해선 높은 규제의 턱을 넘어야했다. 미 정부는 아마존에게 항공법 규제를 적용했다. 미 항공법은 '주간에 400피트 고도 이하에서만 비행할 수 있으며, 반드시 드론이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와야 한다'고 규정했다. 제한 규정에 막혀 주소만 입력해 자동항법으로 배송하는 아마존의 드론 택배 서비스는 미국에서 빛을 보지 못했다.

이듬해 미 정부는 항공 관련 컨퍼런스에서 안전상의 이유로 드론이 상업용으로 허가받기까지 수 년의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당시 존 히키 미국 연방항공청(FAA) 부국장은 컨퍼런스에서 상업용 드론 승인 시기와 관련해 "몇몇 사람들이 기대하는 것과는 달리 승인까진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미첼 폭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운항국장도 드론의 광범위한 활용을 둘러싼 국제규격이 확립될 때 까지 최소 4년 이상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마존은 답답했다. 아마존은 해답을 구하기 위해 영국으로 달려갔다. 당시 제프 베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는 영국 시민항공청(CAA)을 찾아 드론 테스트비행을 위해 일시적으로 규제를 풀어줄 것을 요구했다. 영국은 이 제안을 흔쾌히 받아들였다. 이 조치로 아마존은 2016년 12월 영국 케임브리지 근교에서 TV 셋톱박스와 팝콘 한 봉지가 담긴 2.3kg의 상품 배송서비스 실험에 성공했다. 아마존은 다음해 영국 근무 인력을 2만4000명으로 26% 늘리겠다며 화답했다.

우리 육군도 최근 군사용 드론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하지만 아마존과 마찬가지로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우선 경제성이다. 국내 방산기업들의 드론 생산능력은 물론 관제시스템, 교육시뮬레이션 등 시장능력을 파악해야한다.

국내 기업들은 드론의 자체 생산보다 수입을 통한 수익 올리기에만 몰두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자폭형 드론을 도입할 경우 수입에 의존해도 가능할까라는 고민이 생겼다. 교육도 치밀해야한다. 미군은 2010년 2월 아프간 민간인 차량 오폭사건의 조사보고서를 공개했다. 당시 보고서는 전 세계에서 인명살상에 대한 군인들의 정서적 불감증이 심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군사용 드론 도입을 위한 과제를 한번에 해결할 수는 없겠지만 육군이 앞장서나가는 모습을 기대해 본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