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산업 스파이 '빅 리버'…비밀리에 경쟁사 정보 수집"

최종수정 2024.04.19 10:22 기사입력 2024.04.19 10:19

'프로젝트 큐리오시티' 일환
제3자 판매업체로 위장해 연 100만달러 매출
월마트·이베이 회의 참석해 정보 수집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제3자 판매업체를 차려 경쟁사의 정보를 비밀리에 수집해왔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아마존은 2015년 작전명 '프로젝트 큐리오시티'(Project Curiosity)의 일환으로 시애틀에 '빅 리버 서비스 인터내셔널'(Big River Services International·이하 빅 리버)이라는 업체를 설립했다.


아마존 로고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 업체는 신발, 해변 의자, 티셔츠 등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미 전역의 온라인 고객들에게 배송해왔다. 또 래피드 캐스케이드(Rapid Cascade)와 스베아 블리스(Svea Bliss)와 같은 브랜드명으로 아마존은 물론 월마트, 이베이 등 경쟁사를 대상으로 연간 약 100만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자사 웹사이트에는 자신들을 "고객에 대한 열정과 실험정신을 지닌 기업가, 사상가, 마케터, 크리에이터"라고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게 산업 스파이임을 감추기 위한 전략이었다고 신문은 밝혔다. WSJ는 "빅 리버는 전자상거래 시장의 트렌드, 경쟁사의 가격 데이터, 물류 정보, 결제 서비스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해 여러 국가에 걸쳐 조업을 해왔다"며 "이렇게 확보한 데이터를 아마존과 공유했다"고 전했다.


정보 수집을 위한 행동도 치밀했다. 빅 리버 조직원들은 경쟁사의 판매자 회의에 참석하고 경쟁사 직원들을 만나면서도 아마존을 위해 일한다는 사실은 철저히 감췄다. 외부에서는 부여받은 아마존 메일 대신 다른 이메일 주소를 이용해 아마존 직원들과 연락했다. 또 프로젝트 비밀 유지를 위해 빅 리버에 관한 사항은 아마존 경영진에 이메일이 아닌 인쇄 사본으로 보고했다. 빅 리버 관계자는 "아마존 스토어 최고경영자(CEO)인 더그 해링턴을 포함해 아마존 최고 경영진이 프로젝트 큐리오시티 팀의 업무에 대해 정기적으로 보고를 받았다"고 전했다.


프로젝트 큐리오시티의 주요 타깃은 아마존의 최대 라이벌인 월마트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월마트는 제3자 판매업자(third-party merchant)에 대한 문턱이 높다는 변수가 있었지만, 월마트가 인수했던 제트닷컴과 같은 업체를 먼저 공략해 판매 자격을 얻었다. 또 월마트가 요구하는 수익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아마존에 제품을 판매하며 매출을 부풀렸다. WSJ는 지난해 빅 리버 수입의 69%가 아마존에서 발생했다고 전했다.


아마존은 이에 대해 "벤치마킹은 비즈니스에서 일반적인 관행"이라며 "아마존도 다른 많은 소매업체와 마찬가지로 판매 파트너사와 고객의 경험에 대해 연구하는 고객 경험 팀을 가지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어 "경쟁사들도 아마존 사이트에서 제품을 판매함으로써 아마존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WSJ는 "대부분의 기업이 경쟁사를 조사하기 위해 공개된 문서를 수집하고, 제품을 구매하거나 매장을 둘러본다"면서도 "전문가들은 공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는 것과 산업 스파이 활동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고 얘기한다"고 지적했다. 버지니아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엘리자베스 로우는 "독점 정보를 얻기 위해 경쟁업체에 자신을 허위로 알리는 행위는 영업비밀 유용에 대한 소송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