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무기 맞먹는 파괴력' 현무-5, 괴물 미사일로 불리는 이유[양낙규의 Defence Club]

최종수정 2024.10.01 17:37 기사입력 2024.10.01 11:20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공유하기

세계서 가장 무거운 탄두중량만 8t
미사일사령부 예하에 200여발 배치

‘괴물 미사일’로 불리는 현무-5 탄도미사일이 본격 배치된다. 현무-5는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탄두(8~9t)를 탑재할 수 있으며, 북한의 도발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 무기로 손꼽힌다.




정부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현무-5는 지난해부터 시험발사를 거쳐 개발이 마무리됐으며, 양산에 이미 돌입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보은공장에서 지난해부터 연간 최대 70여발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4월 외신 인터뷰에서 북한의 ‘초고성능·초강력 무기’ 언급하면서 현무-5 전력 배치를 예고한 바 있다. 군은 미사일사령부 예하 부대에 최대 200여발을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현무-5는 미사일사령부 탄도미사일여단 예하 부대인 1200대대 등에 배치될 것으로 보인다.


현무미사일 5종류… 탄도·순항·잠수함 발사 미사일까지

현무는 우리 군이 자체 개발한 미사일 명칭이다. 현무-1은 모두 퇴역했고, 현무-2 시리즈는 단거리 탄도미사일, 현무-3 시리즈는 순항미사일이다. 현무-4 시리즈는 현무-2를 개량한 신형 탄도미사일로 ‘현무-4-1’은 지대지 탄도미사일, ‘현무-4-2’는 함대지 탄도미사일, ‘현무-4-4’는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이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지난해부터 배치된 현무-5는 ‘한국형 3축’ 체계 중 하나인 대량응징보복(KMPR)의 대표적인 수단으로, 유사시 김정은 국무위원장 등 북한 수뇌부가 집결하는 전쟁 지도부와 핵·미사일 기지 등 핵심 시설을 타격하기 위해 개발됐다. 현무-5는 핵무기가 없는 상황에서 최대한 핵무기와 비슷한 파괴력을 낼 수 있게 설계된 고중량 미사일로, 지하 100m보다 깊은 갱도나 벙커 등 표적을 파괴할 수 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유용원 의원(국민의힘)에 따르면 현무-5는 단거리 탄도미사일이지만 탄두 중량을 줄이면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사거리 3000∼5500㎞)급 이상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탄도미사일의 통상적인 탄두 중량인 1t을 기준으로 하면 현무-5의 사거리는 5천㎞ 이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탄두 중량과 사거리는 반비례한다. 현무-5는 원통형 발사관 안에 들어있고, 발사관의 길이는 약 20m로 추정된다. 발사관을 탑재한 차량의 바퀴는 9축이며, 발사차량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발사 후 공중에서 점화되는 ‘콜드론치’ 방식이 적용됐다.


현무 5개발에 현무-3 순항미사일 성능개량 예정

군은 현무-5 개발과 함께 기존에 보유한 지대지 순항미사일 현무-3(최대 사거리 1500km)도 성능 개량을 할 예정이다. 순항미사일은 일정한 비행 궤적을 그리는 탄도미사일과 달리 저고도로 장시간 비행하고, 최종 단계에서 회피 기동과 탐색기(시커)를 활용해 요격을 피하면서 명중률을 높인다. 미국의 대표적인 순항미사일인 토마호크는 건물의 창문을 뚫고 정확히 목표를 때릴 수 있을 정도다.


또 현무-2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차량형 이동식발사대(TEL)도 성능개량을 추진한다. 현재 TEL에서는 현무-2를 1발 발사할 수 있는데 2발을 발사할 수 있는 발사관으로 바꿀 예정이다. 군은 지난달 윤석열 대통이 주관해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한 한미연합·합동화력격멸훈련에서 성능 개량된 현무-2를 공개한 적이 있다.


군 관계자는 "현재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극초음속 미사일은 물론 고성능 전술지대지미사일(KTSSM), 전자기펄스(EMP)탄 등을 개발하고 있어 현무-5와 함께 배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낙규 군사전문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