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낙규의 Defence Club]전투 현장 누비는 군용차량

최종수정 2023.05.23 08:03 기사입력 2023.05.23 06:45

미군 보병의 아이콘 '험비'
아놀드 슈왈제너거도 탐냈지만
급조폭발물(IED) 공격 속수무책

미군의 다목적기동 차량(HMMWV)은 미군 보병을 대표하는 아이콘이다. 1989년 파나마전을 시작으로 걸프전, 소말리아 파병, 아이티 침공 작전, 보스니아 내전 등 주요 작전에서 동원되면서 대표적인 군용차량이 됐다. 일명 험비(Humvee)라고 불린다. 험비는 현재 미국의 육군, 공군, 해군, 해병대에서 약 16만 여대를 사용 중이며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대만에서도 2만 여대를 운용하고 있다.


미군은 1985년 당시 각 군에서 다양하게 사용하는 군차량을 통합하기 위해 전술차량개발을 자동차 기업에 요구했다. 가장 먼저 개발에 뛰어든 업체는 대표적인 스포츠카 브랜드인 람보르기니(Lamborghini)다. 이 업체는 첫 모델 ‘치타’를 선보였지만 미군은 외면했다. 성능이 만족스럽지 못했기 때문이다.


미군이 요구한 전술차량의 성능은 전세계 어떤 지형도 통과할 수 있는 험로 주행능력, 하천을 건널 수 있는 도하능력 등 악조건을 이겨낼 수 있는 차체 강도, 그리고 손쉬운 정비 성능이었다. 람보르기니는 미군의 의견을 반영, 치타를 변형해 민수용차량 ‘LM002’모델을 선보였다. 이 모델은 현재 300대만이 남아 있는 전설의 'SUV(sports utility vehicle)'가 됐다.


아놀드 슈왈제너거도 탐낸 '스테로이드 맞은 지프' AM제너럴 험비

이후 크라이슬러와 포드 등 미국 자동차 업체들이 신형 전술차량 사업에 참여하고 최종사업자로 AM제너럴(AM General)이 선정됐다. AM제너럴이 생산한 험비는 군용차량의 상식을 뛰어넘는 ‘고기동’ 차량이었다. 경사각 60도를 등판할 수 있고, 46cm 높이의 수직장애물이나 76cm 깊이의 참호도 거침없이 통과할 수 있는 전천후 주행능력을 자랑했다. 당시 군에서는 스테로이드(근육강화주사)를 맞은 지프라고 표현했다.


영화배우 아놀드 슈왈제네거는 업체의 양해를 얻어 험비를 민수용버전으로 개조해 처음으로 소유하기도 했다. 폭발적인 인기에 힙입어 AM제너럴은 민수용 허머 H1, H2, H3 모델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들 모델은 2010년을 마지막으로 생산을 끝냈다.


군용 험비는 총 15가지 종류가 납품됐다. 가장 기본적인 모델이 'M998'로 물자·수송형이다. 특별한 무장은 없는 상태며 병력과 물자수송을 위해 필요에 따라 차량 윗커버를 탈부착한다. 적재함부에 설치된 접이식 의자는 양쪽에 각각 4~5명까지 병력이 앉을 수 있다. 물론 접이식의자를 접을 경우 더 많은 물자수송이 가능하다. 이 모델은 현재 'M1097 A2'로 제식명이 개편됐다. 'XM1109' 장갑강화형 모델은 기존의 험비에 비해 대인지뢰, 대전차 지뢰에 대한 장갑성능을 강화한 모델로 내구성을 강화했다. 차량 전면은 7.62mm탄과 12파운드의 대전차 지뢰까지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적재량은 기본형보다 590kg이 줄었다.


급조폭발물(IED) 공격 속수무책

험비도 단점은 있었다. 성능을 개량해도 급조폭발물(IED)공격에는 속수무책이다. 최근 미군은 이라크와 아프간에서 집중적인 IED 공격을 받았으며, IED로 인한 사상자는 전사자의 60%에 육박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미군이 도입한 것은 지뢰방호 장갑차(MRAP)다. 미군이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가장 많이 투자한 부분 중의 하나가 IED 또는 지뢰에 대한 장갑차량 확보다.


MRAP은 지뢰와 IED에 대비해 차체 바닥 장갑을 V자로 제작한 특수 차량이다. 차체 바닥을 V자로 만든 이유는 차량 바로 밑에서 지뢰가 폭발했을 때 충격을 양쪽 옆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서다. MRAP은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 지뢰와 IED에 의한 미군 피해를 현격하게 감소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미군이 사용하던 MRAP은 운전병 1명과 지휘관, K-6 기관총 사격수, 경계병 4명이 탑승할 수 있다. 특히 타이어 압력 자동조절장치가 있어 타이어가 펑크 나도 시속 80㎞로 달릴 수 있다. 또 적군의 전파를 교란할 수 있는 전파교란기(JAMMER)가 장착돼 있고, 가로 60㎝X세로 30㎝의 창문이 있어 정찰 작전도 담당할 수 있다.


다만 MRAP을 유지하기 위해선 차량 한 대당 연간 1만달러에서 2만달러 가량이 소요된다. 미군 당국은 아프간과 쿠웨이트에서 운용되고 있는 MRAP 트럭 정비에 한해에만 1억 3370만 달러를 썼고 파손된 트럭수리에 5억 달러를 쏟아 부었다. 이 때문에 미군은 아프가니스탄 철수 당시 동맹국들에게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이 보유한 MRAP을 공짜로 가져가라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 당시 미국 제안에 호응한 국가는 162대를 요청한 크로아티아가 유일했다.


한국은 해외 파병부대에 바라쿠다 장갑차를 배치한 적이 있다. 바라쿠다 장갑차는 독일 티센사의 TR-170 장갑차의 조립생산 노하우를 바탕으로 대우종합기계가 독자 개발한 제품이다. 자이툰 부대를 위해 육군이 주문해 RPG-7방어 펜스를 설치하고 12.7mm포탑과 연막탄 발사기를 장착했다. 바라쿠다의 전투중량은 12.3t으로 승조원은 조종수 2명 외에 10명의 보병이 탑승가능하다. 최고시속은 93km로 대당 4억 6000만원이다.



양낙규 군사전문기자 if@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