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10대에 뚫린 사우디…한국은 '北드론' 막을수 있을까

최종수정 2019.09.16 16:06 기사입력 2019.09.16 16:01

드론 공격으로 사우디 핵심 석유시설 가동중단
한국도 안심하기 힘들어…北 수년전부터 기술개발

사우디아라비아 아브카이크에 있는 사우디 국영석유회사 아람코의 석유 탈황·정제 시설 단지에서 지난 14일(현지시간) 예멘 반군의 무인기 공격으로 화재가 발생, 연기가 치솟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문제원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의 석유시설이 무인기(드론) 공격으로 큰 타격을 입은 가운데, 우리 군 당국도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번 사건으로 드론 공격의 위험성이 입증되면서, 북한의 혹시 모를 도발에 대비해야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사우디 내무부는 지난 14일(현지시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석유시설과 유전이 드론의 공격을 받아 불이 났다고 밝혔다. 공격에 사용된 10대의 드론은 아브카이크 단지와 쿠라이스 유전에 폭탄을 투하했고, 두곳 모두 쑥대밭이 돼 당분간 가동이 불가능해졌다.


아브카이크 단지는 사우디 각지의 유전에서 모은 원유의 탈황(유황 제거) 작업을 하는 곳이다. 사우디 석유 산업의 심장부로 꼽힌다. 쿠라이스 유전도 매장량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곳 중에 하나다. 이번 공격으로 하루 570만배럴(세계 석유 공급량의 5%)의 원유 생산이 차질을 빚게 됐다.



예멘의 시아파 반군 후티가 수니파 종주국인 사우디의 공항이나 석유시설을 공격한 사례는 이전에도 있었지만 사우디가 이처럼 석유 생산에 차질이 생길 정도로 큰 피해를 입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때문에 미국은 후티 반군을 지원하는 이란을 이번 공격의 배후로 지목하고 있다.


문제는 이처럼 큰 피해를 야기한 공격에 사용된 무기가 불과 드론 10대라는 점이다. 뉴욕타임스(NYT)는 "후티가 한대에 1만5000달러(약 1800만원)에 불과한 저렴한 무기로 지난해 세계 군사비 지출 3위인 사우디에 피해를 줬다"고 전했다. 천문학적인 돈을 국방비에 투입해도 드론으로 인한 공격에 누구든 속수무책으로 뚫릴 수 있다는 점이 입증된 셈이다.


이에 한국도 드론 공격에 대한 대비책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남한을 향해 저강도 무력시위를 계속하고 있는 북한은 수년 전부터 드론 개발에 몰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북한은 수차례 한국에 드론을 보냈다 발각된 바 있다. 2014년에는 서해 백령도와 경기 파주 상공에서, 2017년에는 경북 성주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기지 상공에서 북한 드론이 활동을 한 사실이 발각됐다.


발각된 북한 드론은 동체 길이가 1.43∼1.83m, 날개폭이 1.92∼2.45m 정도인 소형이다. 통상 날개 길이가 3m 이하일 땐 한국 군 레이더로 포착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이번 사우디 드론 공격의 배후로 꼽히는 이란과 주요 무기 개발에서 협력한 만큼 드론 기술 역시 상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수도방위사령부 드론 교육센터에서 장병들이 드론 조종 실습을 하고 있다. (사진=대한민국 육군)

우리 군은 지난해 10월 드론봇 전투단을 출범시키는 등 드론 전력화에 힘쓰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이스라엘에서 수입해 성능평가와 운용시험을 마친 '드론 공격' 방어용 탐지레이더 9대도 전력화했다. 이 레이더는 드론 등을 탐지해 주파수를 무력화시키는 시스템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에도 소형비행체의 거리와 방향뿐 아니라 고도까지 탐지할 수 있는 국지방공레이더와 드론을 격추할 수 있는 신형 대공포·레이저 대공무기를 개발 중이다.


군은 20㎜ 벌컨포의 분당 발사량과 사거리를 늘리는 방향으로 신형 대공포 개발을 진행할 전망이다. 레이저 대공무기는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을 위한 선행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군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기존의 무인기 탐지·추적·공격 대책도 다시 점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