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방산 생태도시 첫 도전은 ‘창원’

최종수정 2022.09.26 15:49 기사입력 2020.06.20 13:00

국내 한 방산기업의 생산공장 현장


[방위사업청 방위산업진흥국장 김성준]2003년 미 국방부는 2억 달러를 투자하여 인공지능 기술확보를 위한 개발에 착수했고, 애플이 이를 인수해 아이폰의 시리(Siri)를 탄생시켜 음성개인비서 부문에서 주도권을 장악했다.


2013년 방위사업청은 총 1조 3000억원을 투자하여 국내 최초로 기동헬기인 수리온 개발을 추진했고, 수리온 개발을 통해 산업파급효과 15조 3000억원, 기술파급 효과 19조 8000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될 것으로 분석됐다.


방위산업은 민간에서 도전하기 어려운 고위험ㆍ고비용 기술 개발 투자를 통해 산업분야의 고부가가치화를 견인하고, "지속 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다수 창출 가능한 산업이다.


지난 2018년 2월, 우리 정부는 혁신의 가치를 기반으로 지역이 주체가 되어 균형발전을 이끌도록 "국가균형발전 비전과 전략"을 발표하였다. 중앙정부가 주도했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자치단체가 정책과 사업을 기획하고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방위사업청은 정부의 혁신 성장, 균형발전 기조에 맞춰 지난 4월 경남ㆍ창원 지역을 방산혁신클러스터로 선정했다.


방산혁신클러스터는 우수기업들이 방위산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지자체·체계기업ㆍ중소기업ㆍ대학· 군 등 지역혁신 주체들을 한 데 모아 지역·산업별 협력 생태계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중앙정부는 시험설비, 부품개발연구실 구축 등 기반을 조성하고, 자치단체가 지역의 기업ㆍ대학ㆍ연구원ㆍ군 등을 포함한 방위산업 발전 거버넌스 운영하여 방산 부품의 선제적 개발, 국산화 확대, 대ㆍ중소기업 상생협력 강화, 일자리 창출 등 지역 산업 기반에 적합한 방위산업 성장을 지원한다.


방산혁신클러스터 사업이 연착륙하여 방산기업이 지역의 뿌리 깊은 나무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중요하다.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법적 기반을 확립하고,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역의 기업, 대학 및 연구기관, 그리고 중앙정부와의 긴밀한 협업이 요구된다. 또한, 국가기간산업과 연계 발전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 완화와 예산 지원도 필요하다.


방위사업청은 방산혁신클러스터가 국가 균형발전의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2020년 경남ㆍ창원 1개 지역을 시작으로 향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방위산업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술 혁신을 견인하고, 침체된 지역경제에 활력소가 되길 기대해 본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위로가기